기업 SNS 계정, 해킹 시 피해는 수십 배
기업의 SNS 계정은 단순한 홍보 수단을 넘어 **브랜드 이미지, 고객 신뢰, 마케팅 자산**이 집약된 플랫폼이다. 그러나 이 계정이 해킹되면 단 한 번의 사고로 수년간 쌓아온 기업의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. 실제로 중소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브랜드들도 SNS 해킹으로 인해 광고 손실, 고객 이탈, 법적 분쟁 등을 겪은 사례가 다수 있다. 기업 SNS 계정은 개인 계정보다 보안 관리가 훨씬 더 정교하게 이뤄져야 하며, 조직 차원의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. 아래 보안 가이드를 통해 사전에 점검하고, 철저하게 대비해보자.
기업 SNS 계정 보안 설정 체크리스트
1. 관리자 계정 권한 분산
- 단일 관리자 ID에 모든 권한을 집중시키지 않는다. - 페이스북 비즈니스 관리자, 인스타그램 프로페셔널 도구 등을 활용해 역할을 세분화한다. - 실무자와 임원의 권한을 구분하고, 퇴사자 계정은 즉시 삭제한다.
2. 2단계 인증 전원 적용
- 기업 계정 접근자 전원에게 2단계 인증(2FA)을 강제 적용한다. - Google Authenticator, Authy 등 인증 앱 사용 권장. - 관리자 교체 시 복구용 전화번호, 이메일을 반드시 갱신한다.
3. 공식 이메일 계정과만 연동
- SNS 계정에 사용되는 이메일은 반드시 기업 도메인(@yourcompany.com) 계정으로 설정한다. - 개인 이메일 또는 외부 프리랜서의 이메일 사용은 엄격히 제한한다.
4. 정기적인 로그인 이력 점검
- SNS 플랫폼의 보안 탭에서 로그인 기기 및 위치 확인 - 낯선 IP, 장비, 지역 접근이 감지되면 즉시 비밀번호 변경 및 관리자 통보
5. 외부 연동 앱 관리
- 게시물 예약 도구(예: Buffer, Later, Hootsuite) 등 연동 앱은 주기적으로 점검 -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앱은 연결 해제 - 접근 권한은 최소화, 읽기/쓰기 구분 철저히 관리
6. 콘텐츠 승인 및 게시 프로세스 구축
- 게시물 작성자, 검토자, 최종 승인자의 역할을 분리 - 개인 단말기에서 임의로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도록 정책 수립 - 클라우드 협업 도구와 연결된 SNS 게시 시, 보안 백업 필수
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 절차
1. 계정 잠금 및 접근 차단
- 로그인 가능한 경우 즉시 모든 외부 세션 종료 - 접근이 차단된 경우, 해당 SNS 고객센터를 통해 신속히 복구 요청 - 관리자 외 접근자 권한 전면 초기화
2. 고객 공지 및 이미지 회복
- 피해 사실을 명확하고 빠르게 알리는 것이 2차 피해 방지에 중요 - 피해 내용, 진행 상황, 대응 조치 등을 SNS 및 홈페이지 공지
3. 수사기관 및 법률 자문 활용
- 명예훼손, 금전 피해, 개인정보 유출 등의 정황이 있다면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 - 기업 변호사를 통한 대응으로 법적 책임 최소화
기업 SNS 계정 보안, 브랜드 자산의 시작점
기업의 SNS 계정은 단순한 마케팅 채널이 아니라, 고객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 자산이다. 사후 복구보다 중요한 것은 **사전 예방 체계와 점검 습관**이다. 정기적인 보안 교육, 계정 점검, 관리자 권한 관리 시스템만 잘 갖춰도 대부분의 해킹 위험은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. 오늘 하루만큼은 회사의 SNS 계정을 점검하는 날로 삼아보자. 브랜드의 신뢰는 디지털 보안에서부터 시작된다.